카테고리 없음

연대생이 추천해주는 국어국문학과 탐구 주제/동아리활동 주제 [전공심화탐구,독서활동]

연대선배 2024. 12. 22. 16:26

 

 

 

학생부 종합 전형 평가 방법

서울대 학생부종합전형 안내

 

서울대학교 학생부종합전형 안내 책자를 기준으로 학종 평가 방법을 작했습니다.

평가기준은 학업 능력, 학업 태도, 학업 외 소양 3가지 기준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2024학년도 서울대 학생부종합전형 안내에 따르면 "입학사정관은 서류평가 과정에서 크게 학생의 학업능력과 학업태도, 학업 외 소양에 대해 평가합니다. 이때, 한 종류의 항목만으로 학생을 평가하지 않으며 제출된 학교생활기록부의 내용을 모두 반영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합니다.

예를 들어, 적극적인 학업태도를 갖춘 학생인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된 수업 참여도와 과목 선택 내역, 교내 프로그램 참여 현황, 학업 관련 학내 활동 참여 노력 등 제출서류에서 드러나는 모든 부분을 종합적으로 고려합니다.

학교생활기록부의 항목별 반영 비율은 정해져 있지 않으며, 특정 부분만을 평가에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교과성취도, 세부 능력 및 특기사항,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창의적 체험활동 등 기재된 모든 내용을 평가 대상으로 합니다.

 

 

국어국문학과 설명

 

국어국문학과는 한국어와 한국문학의 역사와 구조, 문학적 가치를 연구하며, 이를 통해 한국 문화의 깊이를 이해하고 창조적 사고력을 기르는 학과입니다. 국어의 구조와 사용 맥락을 분석하고, 문학 작품의 시대적 배경과 작가의 의도를 탐구하며 언어와 문학의 관계를 폭넓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탐구 주제 추천

 

진로고민, 세특 주제 고민 있으신분이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키워드 얻어가시고 자세한건 더 검색해보세요!

 

 

  • 근대 한국 문학에 나타난 시대적 변화
    • 일제강점기 문학에 나타난 민족주의적 요소 분석.
    • 해방 이후 한국 문학의 서구적 영향을 조사.
  • 한국 고전문학에 담긴 여성의 역할
    • <춘향전>과 <심청전>의 여성 인물 비교 연구.
    • 고전문학 속 여성의 사회적 역할 변화 분석.
  • 현대 한국 드라마 대사에 나타난 언어 변화
    • 드라마 대사의 시대적 변화와 젊은 세대의 언어 반영.
    • 방송 언어와 실제 대중 언어 간의 상호작용 분석.
  • 한국 시조의 구조와 현대적 계승
    • 시조의 형식과 내용 분석.
    • 현대 시조 작품에서 전통적 시조의 재해석.
  • 동아시아 문학과 한국 문학의 교류
    • 중국 한문 문학과 한국 고전문학의 상호 영향.
    • 일본 근대 문학과 한국 근대 문학의 교류와 차이.
  • 한국 현대 소설 속 도시와 자연의 대비
    • 현대 소설에서 도시화의 묘사와 자연의 상징성 비교.
    • 특정 작가 작품을 중심으로 도시와 자연의 의미 분석.
  • 한국 민요에 나타난 삶의 철학
    • 대표 민요의 주제와 사회적 배경 연구.
    • 민요 속 민중의 정서와 현대 음악으로의 계승.

 

심화 탐구 주제 [대학 전공과목과 연계]

  1. 국어학 개론
    • 한국어의 음운, 문법, 어휘 등 구조적 특징을 분석하며, 언어의 과학적 체계를 이해하는 과목입니다.
    • 언어 변화와 지역 방언 연구와 같은 고등학생의 언어학적 탐구 주제와 연관됩니다.
  2. 한국 고전문학사
    • 삼국시대부터 조선 후기까지의 주요 문학작품과 작가를 다루며 고전문학의 흐름을 이해합니다.
    • 고전문학 속 여성의 역할, 한글 문학의 형성과 같은 탐구 주제와 관련이 있습니다.
  3. 현대문학 비평
    • 현대문학 작품을 분석하고 비평적 관점을 탐구하며 문학적 해석 능력을 기릅니다.
    • 현대 소설 속 도시와 자연의 대비, 드라마 대사 연구 등과 연결됩니다.
  4. 한글 연구와 응용
    • 한글의 창제 원리와 현대적 응용 사례를 탐구하며, 한글의 가치를 새롭게 조명합니다.
    • 한글의 과학적 원리와 세계적 가치를 탐구하는 주제와 연관됩니다.
  5. 문예 창작론
    • 문학 창작 기법을 배우며 창의적 글쓰기 능력을 기르는 실습 중심의 과목입니다.
    • 시와 소설에서의 상징과 은유 연구와 같은 주제와 연계됩니다.

동아리/자율활동 탐구 주제

  1. 고전문학 독서 및 발표 활동
    • 한국 고전문학 작품을 읽고 해석하며 발표 자료를 제작.
  2. 한국 드라마와 문학의 서사 비교
    • 인기 드라마와 한국 현대문학의 서사 구조 분석.
  3. 옛날 이야기 속 과학적 사고
    •  전래 이야기 속 과학적·철학적 사고 탐구.
  4. 외국인 대상 한글 교육 프로그램
    • 외국인을 위한 한글 교육 콘텐츠와 학습 자료 제작.
  5. 동아시아 문학 작품 비교
    • 중국과 일본 문학 작품과 한국 문학 작품의 공통점과 차이 탐구.
  6. 디지털 시대 문학 아카이브 제작
    • 디지털 환경에서 문학 작품의 아카이빙 방법 연구 및 실습.

 

국어국문학과 추천 도서 목록

 

  1. <춘향전>
    • 한국 고전소설의 대표작으로, 신분 차이를 넘어선 사랑과 인간의 의지, 전통적 미덕을 다룹니다.
  2. <무정> - 이광수
    • 한국 최초의 근대 소설로, 전통과 근대화의 갈등을 묘사하며 당시 사회의 변화상을 그립니다.
  3. <토지> - 박경리
    • 한국 근현대사를 배경으로 다양한 인간 군상을 그린 대하소설로, 역사와 문학의 만남을 보여줍니다.
  4. <운수 좋은 날> - 현진건
    • 일제강점기 도시 서민의 고단한 삶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단편소설입니다.